◈ 대명사
1. 구조 - 명사자리
2. 문법
3. 어휘 - 약 50여개(시험에 잘 출제 되지 않는다)
● 인칭대명사
- 명사(John) : 주어, 보어, 목적어, 전치사 뒤에 위치
형태변화 X
- 인칭대명사 : 위치에 따라 형태 변화
I |
John(3인칭) |
it/desk | |
주격 |
I |
John |
it/desk |
보어 |
me(구어체) |
John |
it/desk |
목적격 |
me |
John |
it/desk |
전치사 뒤 |
me |
John |
it/desk |
소유격 |
my(형용사) |
John's |
leg of the desk |
소유대명사 |
mine ~의 것 |
John's |
X |
재귀대명사 |
myself(목적격) |
X |
X |
** She is OOO? -> Who is she?
- 보어를 주격 Who로 받기 때문에 보어자리에는 주격이 온다.
** mine은 격변화를 하지 않는다. 또한, 물건을 지징하는 경우가 많다.
** 사물의 소유격은'of + 명사'로 표현한다.
- New Year's day. (새해 첫날) => 사물이 사람처럼 's로 소유격을 표현할 때도 있다.
** mine은 주어, 보어, 목적어, 전치사 뒤에 위치한다.
** John saw him on TV. (존은 그를 TV에서 보았다.)
└─ = ─┘
- John saw himself on TV. (존은 그 자신을 TV에서 보았다.)
** 목적어가 주어와 일치할 때에만 재귀대명사를 사용한다.
** 재귀대명사는 목적어자리와 전치사 뒤에만 위치한다.
- 인칭대명사의 자리
1. 형용사 자리
-> 소유격(한정사, 지정)
2. 명사 자리
- mine(사물)
- I, me(사람)
- myself(목적격이 주어와 동일인인 경우)
- 인칭대명사의 형태
격 |
주격 |
소유격 |
목적격 |
소유대명사 | |
인칭 |
문장성분 |
주어 |
한정사 |
목적어 |
주어/목적어/보어 |
1인칭 |
나 |
I |
my |
me |
mine |
우리 |
we |
our |
us |
ours | |
2인칭 |
당신 |
you |
your |
you |
yours |
당신들 |
you |
your |
you |
yours | |
3인칭 |
그 |
he |
his |
him |
his |
그녀 |
she |
her |
her |
hers | |
그것 |
it |
its |
it |
없음 | |
그들, 그것들 |
they |
their |
them |
theirs |
● 재귀대명사
- '재귀'라는 말은 '원래 자리로 돌아온다'는 의미로 재귀대명사란 주어가 자신을 가리킬때 사용되는 대명사
1. 재귀 용법(주어가 목적어로 돌아갈 때 쓰는 표현)
- I hit myself. (나는 내 자신을 때렸다.)
- I love myself. (나는 내 자신을 사랑한다.)
** I love me. (문법상 틀리지만 원어민들이 사용하는 표현이다.)
2. 강조 용법(부사적 용법)
- 문장의 필수 요소가 아니다.
- I myself hit the ball. (바로 내가 그 공을 쳤다.)
부사자리
3. '전치사 + 재귀대명사'의 관용 표현
1) by oneself : 혼자(alone)
혼자 힘으로(without help from anyone) = on one's own
- She was sitting by herself reading a novel. (그녀는 소설을 읽으면서 혼자 않아있었다.)
= on her own
2) for oneself : 혼자 힘으로
● 지시대명사 / 한정사(지정)
1. this[these]와 that[those]의 기본 쓰임.
- this / these : 근거리의 사람이나 사물 지칭
- that / those : 원거리의 사람이나 사물 지칭
2. that[those]의 특별한 쓰임
- 한 문장 안에서 바로 앞에 나온 명사를 가리킬 때는 지시대명사 that을 쓴다.
** This month's distribution surpassed that of last month.
↑────────┘
(이번 달의 유통량은 지난 달 것을 넘어섰다.)
- surpass : 넘어서다, 능가하다.
- distributions -> those
** Weather in Seoul is much better than that in Washington.
(서울의 날시는 워싱턴의 날씨보다 더 좋다.)
- those
** people의 의미로 사용된다.
**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는다.
** 뒤에 반드시 수식어구를 동반한다.
- Those (who load the truck) must be careful. (트럭에 짐을 싣는 사람들은 조심해야 한다.)
- We invited those (who are) interested in our brand.
(우리는 우리 브랜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을 초대했다.)
** those who : ~하는 사람들
** those ~ing : ~하고 있는 사람들
** those -ed : ~되고 있는 사람들
● 부정대명사
- 부정이란? negative
indefinite
- 부정 대명사의 부정은 정해지지 않은 즉, indefinite이다.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하자.
- 부분과 수량을 나타낸다.
** ex) 70% ->정해진것.
일부분/대부분 -> 정해지지 않은 것.
** some, most, all, many, a few, few, each, both
- 수량 표현
- 부정대명사 한정사
- 관사와 함께 사용하지 않음.
- ex) a few + 복수(미지정)
all the people (지정)
all people(미지정) -> 미지정된 사람들 모두
** some, most, all, much, a little, little
- much, a little, little : 양
- many, a few, few : 수
- some, most, all : 수, 양
- each, both + 셀수 있는 명사
** many vs. much
- many(숫자) 많은 + 셀 수 있는 명사
- much(양) 많은 + 셀 수 없는 명사
- 정리
** 부정(不定)
- 부분 / 수량 형용사
- 한정사
- 뒤에 관사없이 명사가 옴(all은 예외)
- { some, most, all, many, a few, few, both } + 가산명사(복수명사)
- each + 단수명사
- 부정(不定) 대명사
** 부정대명사 + of the 명사 : 지정된 명사 중 일부
미지정 지정
- some people : 일부분의 미지정된 사람들
└───↑
- some of the people : 지정된 사람들 중 일부분
대명사
** some, most, all, many, a few, few, each, both
- 형용사일 경우 무관사로 사용
- 대명사일 경우 of로 연결될 때에는 반드시 the와 함께 사용.
** { some, most, all, many, a few, few, each, both, any, several } of + the + 셀 수 있는 명사 복수
{ some, most, all, much, a little, little, any } of + the + 셀 수 없는 명사
- '부정대명사 of + the + 명사' 형태에서 the 이외에 소유격이나 this[these], that[those]과 같은
한정사가 올 수 있다.
- 무관사 + 부정형용사 + 명사
** every의 경우 한정사로만 쓰이며 부정대명사로는 쓰이지 않는다.
- ex) every + 단수명사
every of (X)
- some 과 any의 차이
** 부분, 수량을 나타냄
** 소수, 소량 표현
** 수량 형용사일 경우 + 복수명사/불가산 명사
** 부분 형용사일 경우 + 복수명사/불가산 명사
** 부분이나 수량을 나타낼 때에만 some은 긍정문에, any는 부정문/의문문/조건문에 사용된다.
- any : 어떤 ~라도 -> 긍정문에 사용 가능하다!
단, any는 조건절이나 긍정문에서 '어떤 ~라도'의 뜻으로 쓰인다.
any가 긍정문에 사용될 때에는 수량/부분의 의미가 아닐 뿐이다!
** some과 any는 모두 '일부, 몇개'의 뜻을 지닌 부정대명사이지만, 주로 긍정문에서는 some을 쓰고
부정문과 의문문에서는 any를 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.
'토목달 R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ay8] Unit 01 관사 및 한정사 (0) | 2012.11.28 |
---|---|
[Day7] Unit 01 가산 / 불가산명사 (0) | 2012.11.20 |
[Day4] 문장의 필수요소와 수식요소 (0) | 2012.11.09 |
[Day3] 8품사, 구, 절 (0) | 2012.11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