◈ 보통명사 / 물질명사 / 추상명사

● 셀 수 있는 명사(Countable)    -> C(보통명사)

    셀 수 없는 명사(Uncountable) -> U(물질명사)

 

● 구분법!

- 반으로 나누었을 때 동일한 물질이 나오지 않는경우 -> 보통명사(셀수 O)

** one cell phone / two cell phones

- 반으로 나누었을 때 동일한 물질이 나오는 경우 -> 물질명사 (셀수 X)

** 종이 U, 돼지 C, 돼지고기 U

- 개념이나 행동을 나타내는 경우 -> 추상명사(셀수 O,X 둘다 가능)

** hope 희망, 희망사항

** two hopes 두개의 희망사항(구체적인 경우를 지칭할 때는 가산명사)

 

● 추상명사

- 추상적 개념을 가지고 있어 불가산명사로 쓰이는 추상명사

- 가산명사, 불가산명사로 모두 사용되는 추상명사

- 가산명사로만 쓰이는 추상명사

** plan : 계획

** a plan : 한가지 구체적인 계획

 

● 정리

- 보통 명사 : C

- 물질 명사 : U

- 추상 명사 : C -> plan 계열

C/U -> hope 계열

U -> information 계열

 

◈ 집합명사

● 여러개로 이루어진 명사

 

● 복수로만 취급 -> people 계열 (복수 취급 / 단수형 X)

- 3 people -> 복수 취급 / 단수형 X

        1 people(X)

 

● 하나의 조직이나 단체로 취급 -> group 계열 (단수 취급 / 복수형 O)

- one group -> 단수 취급 / 복수형 O

   two groups

 

● clothing 계열 (서로 다른 명사들의 집합) (셀수 X)

- '의류'라는 같은 종류에 속하지만 동일하지 않은 명사.

- 3 T-shirts : 티셔츠 3장

- 3 pieces of clothing : 의류 3벌

 

● 정리

- people 계열 : 복수취급 / 단수형 X

- group 계열 : 단수취급 / 복수형 O

- clothing 계열 : 셀수 X, 서로 다른 명사로 이루어짐. 가장 잘 나옴. 중요!!!!!!!

 

 

◈ 셀 수 있는 명사[가산명사]

- 하나, 둘 이렇게 개수를 셀 수 있는 명사를 '셀 수 있는 명사' 또는 '가산명사'라고 부름.

- 셀 수 있으므로 하나인지(단수), 여러개인지(복수)를 구분해야 함.

- 단수일 경우에는 명사 앞에 a(n)를, 복수일 경우에는 명사 뒤에 -(e)s를 붙임.

 

◈ 셀 수 없는 명사[불가산명사]

- 셀 수 있는 명사와는 달리 개수를 셀 수 없다 하여 '셀 수 없는 명사' 또는 '불가산명사'라고 부름.

- 따라서 당연히 하나임을 나타내는 a(n)나 복수형을 나타내는 -(e)s가 붙을 수 없음.

 

◈ 토익에 자주 등장하는 셀 수 없는 명사

- informatin : 추상명사 U

- advice : 추상명사 U

- furniture : 집합명사(clothing 계열) U, 가구류

- luggage : 집합명사(clothing 계열) U, 수하물

- equipment : 집합명사(clothing 계열) U, 장비류

- machinery : 집합명사(clothing 계열) U, 기계류 

** clothing 계열의 명사는 '~류' 또는 '~물'이라고 해석하자!

 

 

Posted by 악동주연
,